2025.03.21 (금)

  • 맑음동두천 18.7℃
  • 구름많음강릉 19.5℃
  • 연무서울 16.8℃
  • 맑음대전 19.4℃
  • 맑음대구 20.5℃
  • 맑음울산 20.4℃
  • 맑음광주 20.9℃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8.6℃
  • 맑음제주 20.1℃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19.3℃
  • 맑음강진군 21.3℃
  • 맑음경주시 21.5℃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부 올 한해 부상·조난 당한 야생동물 2만 마리 이상 구조

- 매년 구조된 야생동물 중 35% 정도가7천 마리 이상 치료 거쳐 자연으로 돌아가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올 한 해 동안 전국 17개 야생동물 구조센터 등을 통해 부상이나 조난 당한 야생동물 20,408마리(폐사체 포함)를 구조했으며, 그 중 7,321마리가 치료된 후 자연으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에 따라 2006년부터 경기 2개소, 국립공원 1개소, 세종·대구 미설치, 그 외 14개 시도는 각 1개소 설치·운영 중인 전국 16개 시도에 17개 야생동물 구조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야생동물 구조센터를 통해 구조되는 야생동물이 5년 전(2019년) 대비 43.8%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년 구조된 야생동물 중 35% 정도가 치료를 통해 다시 자연으로 방사됐으며, 이 중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과 Ⅱ급도 매년 300~400마리가 포함됐다.

 

                                         <최근 5년간 야생동물 구조·방사 개체수 추이>

                                                                                                                       (단위: 마리)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구조 개체수

14,188

15,397

17,545

20,161

20,408

 

멸종위기종

 

1,076

 

1,205

 

1,277

 

1,202

 

1,192

 

 

 

 

 

 

 

 

 

 

 

 

방사 개체수

5,061

(35.7%)

5,514

(35.8%)

6,247

(35.6%)

7,099

(35.2%)

7,321

(35.9%)

 

멸종위기종

 

371

 

405

 

450

 

383

 

356

 

 

 

 

 

 

 

 

 

 

 

 

 

 

2023년 야생동물 구조, 방사 개체수를 지역별, 종별, 사고원인별 항목으로 각각 구분한 통계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로는 경기(3,252마리, 15.9%), 충남(2,469마리, 12.1%), 서울(1,791, 8.8%) 순으로 구조 개체수가 많았다. 종별로는 모든 시도에서 조류가 75.4%(15,915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미아*, 투명창·방음벽 등에 충돌,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등의 사유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유류·파충류 등 타 분류군을 포함한 통계에서도 미아, 충돌, 교통사고, 감염 순으로 사고원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통사고의 경우 포유류가 대다수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 조류가 번식하는 시기에 어미를 잃은 새끼 새가 둥지 인근에서 많이 발견됨

 

이에 따라, 환경부는 투명창 및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로 인한 야생동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야생생물법’ 개정(2022년 6월 개정, 2023년 6월 시행) 등을 통해 국가기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 예방을 위해 소관 인공구조물을 설치·관리하도록 의무를 부여했다.

 

<2023년 야생동물 지역별·종별·사고원인별 구조 개체수>

 

① 지역별

                                                                                                                               (단위: 마리)

서울

부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울산

경기

(남부)

경기

(북부)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국립

공원

20,408

1,791

1,698

790

851

20

614

892

2,727

525

1,148

1,324

2,469

1,230

1,055

563

1,245

1,256

210

 

 

② 종별

                                                                                                                              (단위: 마리)

구분

조류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기타

20,408

(100.0%)

15,915

(78.0%)

4,268

(20.9%)

216

(1.1%)

7

(0.03%)

2

(0.01%)

- 멸종위기종

1,192

(5.8%)

914

(4.5%)

257

(1.2%)

21

(0.1%)

-

(-)

-

(-)

③ 사고원인별

 

                                                                                                                              (단위: 마리) 

미아

(어미 잃음)

충돌

교통사고

감염

기아탈진

추락

기타

(사고 등)

20,408

(100.0%)

5,280

(25.9%)

4,096

(20.1%)

1,768

(8.7%)

1,431

(7.0%)

742

(3.6%)

15

(0.1%)

7,076

(34.7%)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야생동물 구조센터 설치·운영을 계속 확대지원하여 더 많은 야생동물이 구조, 치료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도 개선하겠다”라며, “부상이나 조난을 당한 야생동물 발견 시 해당 시도 야생동물 구조센터에 신고해달라”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우원식 의장,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 참석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물 재난·생물다양성·식량위기·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에 참석했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기후위기 대응이라고 하면 온실가스 감축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한번 배출된 온실가스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까지 대기 중에 남아 있다는 점에서 이미 진행된 기후 위기 상태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우 의장은 “농업, 산림, 수산, 해양, 생태, 보건 등 많은 영역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 생업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며 “농축수산업 종사자들의 피해가 밥상 물가 폭등, 기업 활동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면서 민생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상 관측 이래 113년 만에 가장 더웠던 작년 여름과 같은 폭염, 폭우는 취약계층에게 더 혹독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그래서 기후위기 대응, 특히 적응 정책은 민생과 닿아 있고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일”이라며 “기후 위기로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특별한 관심을 갖고 국회에서 뒷받침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 체결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0일 오전 10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고 전했다. 협약식에는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 박선욱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처장, 성현도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이주은 부산뇌병변복지관장이 참석해 이번 사업의 취지와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협약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은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와 홍보단(서포터즈)으로 구성된 시민추진단이 매주 화요일에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체험하는 사업으로, 오는 4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시는 저상버스 도입률을 높이기에 앞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개선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분위기를 조성해 휠체어 장애인 등이 자연스럽게 저상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번 협약을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시 전체 버스의 60퍼센트(%)인 1천534대가 저상버스지만, 정작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저상버스 탑승 비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