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2 (토)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16.0℃
  • 맑음서울 8.9℃
  • 맑음대전 9.6℃
  • 맑음대구 16.1℃
  • 맑음울산 13.9℃
  • 맑음광주 10.2℃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7.7℃
  • 맑음제주 16.4℃
  • 맑음강화 7.7℃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6℃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상하수도

서울시, 기존 수방시스템의 기능 강화 위해 8개의 수해 최소화 기술방안 마련

115년 만의 기록적 폭우로 서울지역 피해 증가…원인별, 현장별로 기술적 해결방안 마련
▲반지하 가구 소멸 전까지 거주자 위한 대책 ▲ 침수취약가구를 위한 방안 등
서울기술연구원, 서울시 수해 최소화를 위한 8가지 기술 방안을 서울시에 제공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기술연구원은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확인된 서울시 기존 수방시스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8개의 수해 최소화 기술방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서울기술연구원이 제시한 수해 최소화 솔루션은 수해 원인별로 ① 반지하 가구 소멸 전까지 거주자를 위한 방수 대책 방안 ② 침수취약가구 지원시스템 미작동 사유 분석 및 대책 ③ 지하 도시고속도로 홍수 피해 적은 원인 벤치마킹 기술 ④ 폭우 등 재해상황 시 철도․버스 호환 교통정보 제공 개선 방안 ⑤ 물 웅덩이 없는 도로 구현으로 차량 전복 및 사고 감소시키는 기술 ⑥ 건설 현장 감전사고 대책 ⑦ 침수 피해 알쏭달쏭 용어 정리 ⑧ 하수 역류시 맨홀 뚜껑이 열려서 나는 사고 방지 기술 등 총 8종 세트로 구성됐다.

 

<침수취약가구를 위한 방안>으로는 침수 취약가구를 위한 IoT 스마트 침수 감지센서 설치, 침수취약지역의 기존건축물(지하주차장 입구 등)에 침수방지 시설 설치, 현관 대피가 불가능한 비상시 내부에서 쉽게 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등의 대책을 제안하였다.

 

<가변식 차수벽, 강변북로 인프라 개선으로 상습침수 예방>으로는 한강변 상습 침수 및 일부 저지대 구간에 가변식 차수벽 설치, 한강의 홍수위 여유고보다 높게 월류 방지 옹벽 설치, 개착식 옹벽 또는 지하차도 설치 방안을 제시했다. 

 

그 밖에도 최근 서울시 침수피해 관련 언론보도에서 범람(氾濫), 침수(浸水) 등의 단어가 실제 피해 상황과 다르게 혼용되고 있는 바, ‘00년 빈도 강우량’ 보다 ‘시간당 00mm 강우량’로 사용 권장하는 내용의 <침수 피해 알쏭달쏭 용어 정리>를 제시해 용어의 혼선을 줄이도록 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국지성 폭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번의 기록적인 폭우는 서울시의 풍수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대책 마련 필요성을 재확인하게 했다. 이에 데이터 분석과 체계적 예측 시스템, 원인별 전략 수립을 통해 사전 예방체계로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임성은 서울기술연구원 원장은 “이번 서울기술연구원에서 마련한 기술 솔루션이 서울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앞으로도 풍수해에 안전한 서울을 위해 수해 원인별, 현장별로 섬세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우원식 의장,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 참석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물 재난·생물다양성·식량위기·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에 참석했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기후위기 대응이라고 하면 온실가스 감축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한번 배출된 온실가스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까지 대기 중에 남아 있다는 점에서 이미 진행된 기후 위기 상태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우 의장은 “농업, 산림, 수산, 해양, 생태, 보건 등 많은 영역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 생업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며 “농축수산업 종사자들의 피해가 밥상 물가 폭등, 기업 활동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면서 민생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상 관측 이래 113년 만에 가장 더웠던 작년 여름과 같은 폭염, 폭우는 취약계층에게 더 혹독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그래서 기후위기 대응, 특히 적응 정책은 민생과 닿아 있고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일”이라며 “기후 위기로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특별한 관심을 갖고 국회에서 뒷받침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 체결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0일 오전 10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고 전했다. 협약식에는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 박선욱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처장, 성현도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이주은 부산뇌병변복지관장이 참석해 이번 사업의 취지와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협약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은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와 홍보단(서포터즈)으로 구성된 시민추진단이 매주 화요일에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체험하는 사업으로, 오는 4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시는 저상버스 도입률을 높이기에 앞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개선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분위기를 조성해 휠체어 장애인 등이 자연스럽게 저상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번 협약을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시 전체 버스의 60퍼센트(%)인 1천534대가 저상버스지만, 정작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저상버스 탑승 비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