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서울] 서울물연구원은 서울의 수돗물 품질 향상과 상수도 미래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 성과물을 담은 보고서 「서울워터 2023」을 발간했다고 22일 전했다.
「서울워터」는 서울아리수본부 산하 수돗물 전문 연구기관인 서울물연구원의 연간 연구 성과물을 담은 보고서로, 2016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으며 올해로 아홉 번째다.
「서울워터 2023」은 수돗물 생산 공정의 기술 혁신 관련 연구 7편, 안정적인 공급 과정 관련 연구 4편, 수돗물 수요 분석에 관련 연구 2편 등 상수도 전반에 관한 13편의 연구보고서를 수록하고 있다.
우선 수돗물 생산 공정 혁신 관련 연구는 수질안전성 강화를 위한 전오존 도입 방안, 서울시 정수센터에 맞는 침전지 개량 방안, 일반모래에 여과재의 일종인 안트라사이트를 섞어 사용하는 이중여재 여과 연구, 오존접촉조 표면 보강재로 스테인리스강 적용 평가 등이다.
첫 번째, 전오존도입 방안은 염소 소독으로 인한 부산물은 저감하고 효과적으로 조류 및 난분해성유기물을 제거하는 방안으로 정수 공정 이전 단계의 원수에 오존 처리를 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국내외 도입사례 조사와 파일럿 실험을 통한 정수 효율을 평가했다.
두 번째, 노후화된 서울시 정수센터의 현대화에 발맞춰 침전지의 형식에 따라 효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향후 정수센터 별로 최적의 침전지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세 번째, 물의 여과 속도와 여과재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중여재 파일럿 실험을 통한 수돗물 생산량과 역세척 효율, 수질 분석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중여재’는 일반 모래에 ‘안트라사이트’라는 여과재를 섞어 사용하는 것으로, 여과 속도와 역세척 주기를 늘릴 수 있어 효율적인 공정 운영에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고도정수처리 과정에서 오존의 강한 산화력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오존접촉조를 부식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 보강재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다음으로 수돗물의 안정적 공급 연구는 관말을 포함해 유속이 낮은 관로의 수질 개선 방안, 상수도 공급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방안 등이다.
첫 번째, 수도관의 유속이 느린 관말 지역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자동으로 수질을 측정하고 배출하는 장치의 운영 시스템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현재 시제품 개발 중으로 상용화할 예정이며, 이 장치를 적용하면 관말 지역에 정기적으로 인력이 방문해 직접 퇴수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퇴수 양도 절반으로 절감할 수 있다.
두 번째, 서울시 수도사업소 현장 조사를 통해 상수도 공급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10가지 디지털 전환 과제를 제안했다. 주요 제안 내용은 현장 운영관리에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앱 활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설물 등급화 관리, 데이터 기반의 수질 예측 모델 개발 등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민의 수돗물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는 주민등록 정보와 수도사용량을 가명결합 분석, 국내외 음용률 조사기법 및 개선 방안 연구이다.
연구원은 2021년 1년간 서울시 51만 세대, 123만 명의 수돗물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세대 구성 인원 별로는 1인 세대, 연령대는 1인 가구 중에서도 50대가 하루 평균 288 L로 가장 많은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 세대는 주택규모가 커질수록 수돗물 사용량도 3인 세대에 비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워터 2023」는 정부 주요 도서관과 상수도 관련 기관에 배포되며, 서울아리수본부 누리집(http://arisu.seoul.go.kr)에 접속해 ‘서울물연구원’ → ‘연구원 소식’ 게시판에서 열람할 수 있다.
윤희천 서울물연구원장은 “서울시민에게 고품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과학적 수질관리, 수처리 및 배급수 고도화, 상수도 디지털 전환 등 핵심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라면서 “4차 산업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기후변화 등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물관리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